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비지트도 생성해서 여러분들께 공유하긴 했습니다만, 최서연 박사의 캐릭터, 스머프 스타일, 지브리 스타일 등 챗GPT-4o의 이미지 제너레이션 기능으로 이미지를 생성해보았는데요, 이 기능이 출시되면서 2023년 챗GPT 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대중화를 이끌었던 때처럼 지금이 그렇습니다.
X 를 비롯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우리나란 카톡 등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들로 SNS 에서 도배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지브리 스타일이 가장 인기인데요, 사진들이 총동원이 되면서 지브리 스타일로 변경해 공유되고 있습니다.
오픈 AI 샘 알트만이 GPU 가 녹아내리고 있으니 이미지 생성을 좀 그만해 달라고까지 했다고 하니 얼마나 만은 사람들이 이미지를 생성을 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주 짧은 명령만 넣어도 완벽한 이미지가 생성되니 오픈AI 의 달리와는 차원이 다를 뿐더러, 미드저니 보다 훨씬 편하게 이미지 생성이 가능합니다. 챗GPT 가 역시 이렇게 또 전 세계를 강타하는구나... 하는 순간입니다.
오픈 AI 가 챗GPT-4o 이미지 제너레이션을 출시하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말이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사용할수 있다라는 말이었는데요, 그 말처럼 전 세계에서 폭발적으로 생성하며 활용하고 있습니다. SNS 짤, 웹툰, 프로필, 3D 이미지, 소설, 동영상 콘텐츠 등 기존 이미지와는 달리 디테일에서 흠이 없다보니 프로의 손길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입니다.

전상훈 박사 지브리 스타일
비지트가 챗GPT-4o 이미지 제너레이션을 보면서 완벽에 가까운 챗GPT 소라가 얼마 남지 않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챗GPT SORA 는 바로 텍스트로 영상을 만드는 인공지능입니다. 텍스트의 완벽한 이해, 다양한 이미지의 완변학 생성, 그리고 이와 통합된 동영상 인공지능인 챗GPT 소라. 그렇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SNS 의 절반 이상이 인공지능이 만든 릴스, 쇼츠로 동영상이 도배되고 AI 가 만든 이미지 등 AI 콘텐츠로 넘쳐 날 것으로 보입니다. 정말 우리가 우려하고 있는 가짜 뉴스, 딥페이크의 도배가 될지도 모릅니다. 어떤 것이 진짜이고 어떤 것이 가짜이고 혼돈의 시대가 오는 것이죠.
또 다른 문제는 AI 가 생성한 이미지나 텍스트 만으로 학습한 AI 는 그 성능이 점점 저하되고 결국 완벽히 붕괴된다는 것입니다. 지금 처럼 AI 가 생성한 이미지나 텍스트, 영상들만 존재한다면 인간의 정서와 삶이 녹아내린 글이나 그림, 영상을 만나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 이미지를 생성하는 AI를 예시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AI가 골든 리트리버, 불독 등 다양한 종류의 개 이미지를 학습하는 상황에서 만약 골든 리트리버 이미지 데이터가 다른 견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면, AI는 골든 리트리버에 대한 학습이 과도하게 이루어질 것입니다. 이러한 학습이 반복되면 AI는 ‘개’ 하면 오직 ‘골든 리트리버’만을 떠올리는 편향된 인식을 갖게 됩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AI가 생성한 이미지를 학습한 AI는 결과적으로 골든 리트리버조차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이상한 이미지를 생성하게 됩니다.
,
,
AI가 인간을 대체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인간의 실제 삶과 생산적 활동을 통한 진정성 있는 데이터 생성이 없다면 AI는 결국 붕괴하게 됩니다. 이는 AI에도 인간이 필요하고, 인간에게도 AI가 필요한 상호 보완적 관계임을 잘 보여 줍니다.
AI 시대 청소년을 위한 디지털 지능 계발서 '디지털 세상을 살아갈 너에게'


AI 시대 청소년을 위한 디지털 지능 계발서 '디지털 세상을 살아갈 너에게'
이 뿐만이 아니죠. 청소년들이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고 사용하면서 생겨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서 비지트는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최서연 박사와 전상훈 박사의 청소년 AI 추천도서 '디지털 세상을 살아갈 너에게'를 집필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AI 가 주도하는 디지털 세상, 청소년들의 SNS를 규제해야 할까요?
<청소년 SNS 규제 논란>
막아야 하나 말아야 하나..
가짜와 진짜가 혼재하는 디지털 세상
<청소년 SNS 규제 논란> 막아야 하나 말아야 하나.. 가짜와 진짜가 혼재하는 디지털 세상, 정확한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청소년의 SNS 를 규제해야 한다는 논란이 요즘 일고 있습니다. SNS (소셜...
blog.naver.com
AI 의 발전은 이게 끝이 아닙니다. 이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사람이 직접 하지 않고 대신 수행하는 AI 에이전트도 우리에게 멀지 않았습니다. 클로드 MCP 가 빠르게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뿐이 아니죠. 이제 물리적 AI 로 젠슨 황이 CES 2025에서 밝힌바와 같이 로봇과의 연계입니다. 결국, 뇌를 가진 인공지능과 몸을 가지니 로봇이 인간을 대신할 일은 더 무궁무진합니다.
최근 클로드의 MCP가 빠르게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경쟁사인 OpenAI도 지원하기로 결정할 정도입니다. 에이전트가 사람의 일을 대신하려면 현실 세계에 직접 액션을 해야 합니다. MCP가 바로 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엑셀 MCP는 엑셀을 조작하고, 노션 MCP는 노션 문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기존 서비스들이 외부 API를 제공하면 이를 MCP로 만들어 에이전트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오픈 AI가 AGI 와 같다고 이야기하는 GPT 5, 그 출시도 기대하고 있어 챗GPT 4o 이미지 생성기능은 앞으로 AI 가 바꿔나갈 세상을 더 이상 방관하지 않고 동참해야 할 때임을 경고 하고 있습니다.
【비지트는 IT 융합 공학박사이자 미래전략가로 개인과 기업의 미래 가치 향상에 힘쓰고 있습니다. '챗GPT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의 저자로 챗GPT/ AI 강연, 드론/ 자율주행차 강연, 미래전략 강연, 진로진학 커리어 컨설팅, 기업의 미래 전략 컨설팅 등 미래가치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는 종합 컨설팅 Firm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