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_4차산업혁명/AI 시대_생존전략

<AI 위해 인문·사회·의료·공학·경영경제·교육 뭉쳤다> 기아 × 연세대 100억 AI 프로젝트가 시사하는 의미, 인공지능 종합연구센터 ‘AI혁신연구원’

비지트_ 2025. 2. 10. 16:04
반응형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요즘 현장에서 AI 시대 이후 미래 진로에 대해서 고민을 하시는 분들을 많이 봅니다. 진로 설계 과중 중에서 AI 활용 방법이 많이 거론되지만 그와 함께 AI 리터러시 부분에 대해서도 강조되여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며칠 전 모 공공기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맡아줄 용역사 평가에서, AI 리터러시에 대한 큰 그림은 없이 활용에만 매몰되다 보니 프로그램의 한계가 역력히 드러나더군요.

그래서, 비지트는 진정한 AI 리터러시가 왜 중요하며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가장 핫한 최신 소식을 전달해 드리고자 합니다.

 

100억 규모의 AI 혁신연구원 설립 -한국 최초의 인문학 기반 AI융합 프로젝트

최근 기아자동차와 연세대학교가 무려 100억 원을 투자해 'AI 혁신연구원'을 설립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그래서 뭐가 특별한데?"라고 궁금해하실 텐데요. 그 이면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왜 이 협력이 특별할까요?

전통적인 산학협력은 보통 자동차 회사가 자동차 관련 연구에 집중하고, IT 기업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치중하는 식이었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융합으로 의료, 정치학, 경영 등 기존의 컴퓨터 분야가 아닌 인문과 사회과학 베이스에 여러 분야를 AI로 연결하는 다학문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혁신 움직임은 2018년부터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 곳곳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어, 글로벌 트렌드를 선도하는 중요한 변화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2. 세계는 지금... 글로벌 트렌드는 어떠할까요?

크게 글로벌적으로 의료 분야와 정치분야에 AI와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유명한 의료기관인 메이요 클리닉과 AI반도체를 선도하는 앤비디아 (NVIDIA)는 2,000만 개의 병리 이미지를 활용해 AI 진단 모델을 개발 중이며 구글 딥마인드에서는 알파폴드(AlphaFold)를 통해 신약 개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고 있습니다. UAE의 MBZUAI는 뇌 건강에 맞춘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정치와 AI와의 융합으로는 스웨덴 Chalmers 공대에서는 AI를 활용해 정당들의 입장 변화를 분석하고 있으며, 영국 LSE에서는 AI로 더 공정한 복지정책을 연구 중이며 트럼프가 탈퇴 선언한 WHO에서는 23개국과 협력하여 의료 AI 윤리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있네요.

 

 

 

달리E가 그림

 

▶초중고 학부모님들이 알아야 두어야 할 사실

이번 소식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이번 기아차와 연세대의 협력은 실무 중심 교육의 혁신이라는 신호탄으로 봐야 합니다. 에를 들어, 기아자동차의 실제 자율주행 데이터를 학습에 활용하기 위해, 연세대 병원의 실제 의료 데이터(비실명화 및, 데이터에 관련 법률 준수)를 통해 고객의 자율주행차에서 건강진단이 가능한 시대가 올수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이러한 교육에서는 학부에서 바로 할 수 없기에 최소 학부와 대학원 과정 학생들이 연합해서 프로젝트 베이스로 커리큘럼이 만들어져 한다는 전제가 있습니다. 학부에서 이러한 프로젝트를 해본 학생들은 WHO의 23개국 협력 네트워크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물론, MIT-IBM Watson Lab 등 세계적 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한 연구에 자신의 경력 포트폴리오를 제출할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AIDT(AI 디지털 교과서)에 대해서 오픈 마인드를 가지지 않으면 여러분 자녀들이 이러한 기회 자체를 잃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대학생 및 취준생 여러분이 알아야 할 사실

이제 AI는 컴퓨터와 공학자 영역만이 아닙니다. 의대생이 AI를 배우고, 정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알고리즘을 연구하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실제로,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경우 유튜브, 인스타그램의 알고리즘을 분석하지 못하면 노출되는 영상을 제작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만큼 융합적 사고와 다양한 분야의 전문지식을 겸비한 인재가 되어야 하며, 특히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AI를 제대로 이해하는 최고의 인문학자만이 미래의 주역이 될 것입니다.

에를 들어 다음의 미래 직업들 역시,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인문학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가진 AI 전문가가 다음의 미래직업의 주역이 되어야 합니다. AI 의료 전문가, AI 기반 정책 분석 전문가,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자, AI 윤리 전문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등은 깊은 통찰력을 가진 AI 인문학자들이 탑티어 전문가가 될 것입니다.

 

 

지금 우리는 역사적인 변화의 한가운데에 있습니다. AI가 바꾸는 미래는 더 이상 먼 이야기가 아닙니다. 한국도 이제 중국의 딥시크 침범 이후, AI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비지트는 IT 융합 공학박사이자 미래전략가로 개인과 기업의 미래 가치 향상에 힘쓰고 있습니다. '챗GPT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의 저자로 챗GPT/ AI 강연, 드론/ 자율주행차 강연, 미래전략 강연, 진로진학 커리어 컨설팅, 기업의 미래 전략 컨설팅 등 미래가치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는 종합 컨설팅 Firm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