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eGT_창의성 계발 9

<AI시대 창의성 계발법, 스캠퍼 기법 7단계> 정보융합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과정, 청소년 AI 인문 진로 전략서 'AI 질문이 직업이 되는 세상'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설 수 있다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나오면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지 학생도 직장인도 심지어 실버세대까지 화두에 오르고 있는 이슈입니다. 더구나 얼마 전 보스턴 다이나믹스가 공개한 현대자동차 현장에 투입될 뉴 아틀라스 로봇은 그야말로 인류의 미래 진진에 멈칫할 수밖에 없더군요.  이러다 보니 남녀노소 각계각층을 막론하고 인공지능이 장착된 로봇 그리고 인간의 대결일지 공존이 될지 아니면 인류의 역행이 될지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한 미래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확실하고 모호한 미래이지만, 하나 확실하고 명확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절대적으로 인간이 가진 인문학적 소양, 철학적 지성, 그리고 의문을 멈추지 않는 호기심이 창작된 창의성이라..

<아이의 일침>AI 시대, 왜 성적만을 강요하세요? 어른들이 뭐라 답하나.. 보고 듣는 것이 다르면 아이의 질문도 다르다. 아이들은 똑똑하다.

“인공지능과 같은 지능형 기기들이 우리 세상에 등장함으로써 ‘평균의 시대’가 종말을 향해 가고 있다.” 타일러 코헨 (하버드 경제학 교수)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강연을 통해 보고 느낀 점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2023년에 출간된 '챗GPT,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 은 학생보다 학부모, 교사, 공무원, 직장인, CEO 등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연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고등학생 대상은 열 손가락에 꼽을 정도로 몇 안 되었는데요, 당시도 기본소득과 미래 복지와의 관계, 데이터 배당, AI 저작권, AI 윤리, 2차 산업혁명과 4차 산업혁명과의 차이, 일자리의 종말, 창의성 계발 방법 등 질문들이 물밀듯이 쏟아져 나와서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만류할 정도였지요. ​ 이번에 출간된 'AI 질문이 직업이 되는 세..

<청소년 분야 2월 베스트> 에세이에서부터 AI까지 다양, 교보문고 온라인

새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3월 시작전 2월 달에 청소년 분야에 관심을 받았던 도서는 어떤걸까요? 1위 이토록 공부가 재미있어지는 순간 / 박성혁 지음 / 다산북스 2위 고전의 숲 / 김태완 / 포레스트북스 3위 철학의 숲 / 브렌던 오도너휴 / 포레스트북스 4위 10대를 위한 총균쇠 수업 / 김정진 / 넥스트씨 5위 문학을 열다 세트 / 김유정 외 / 스푼북 6위 A.I. 질문이 직업이 되는 세상 / 최서연 외 / 미디어숲

<AI 라는 언어> 문이과 구분없이 배우고 사용하고 활용해야.. 2019년에 바라본 AI 그리고 2023년 챗GPT 등 생성형 AI 의 위협, 5년뒤의 세상은 모든것이 융합연결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 네이버를 비롯 국내에서도 생성형 AI 서비스가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고 앞으로 KT, LG 등도 함께 가세할 현재의 AI 시장을 보며 4년 전 비지트가 작성했던 포스팅이 떠올라 공유합니다. 당시 작성했었던 제목은 [AI 전쟁의 시작] 문이과 구분은 더 이상 의미 없는 과거의 유산, 비지트는 인공지능 패러다임을 대비하고 있습니다 였습니다. ​ 현재도 참 많이 대두되고 있는 이야기지요? 4년 전이지만 현재를 바라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물씬 나는 포스팅이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시면 되겠습니다. 당시의 포스팅에서 일부 내용을 발췌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요즘 인공지능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가 다가왔습니다. 심지어 MIT는 2019년부터 문이과 구분 없이 모든 과에..

[TED 특강 소개: 학교가 창의성을 망가뜨리는가?] 학교에서 배우는 것으로 5년 안에 나타날 미래의 변화에 대한 대처가 불가능하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아야 창의성이 나타난다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 직장인 등 성인분들의 상담을 하다보면, 본인 상담을 시작하다가 가면 갈수록 자년분들에 대한 질문도 같이 하는 경유가 많아요 ^^ 공교육데 해나 고민과 창의성 방식에 대한 많은 고민을 하시다보니 그런거 같습니다. 그래서 비지트가 오늘 2006년 TED 강연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 학생의 창의성을 키워주는 교육제도의 필요성을 주장한 TED 강연 '학교가 창의성을 죽인다(Do schools kill creativity)'를 오늘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위키백과에는 켄 로빈슨 경(Sir Ken Robinson, 1950년 3월 4일 ~ 2020년 8월 21일)은 영국의 교육학자로 리버풀 출신으로 리즈 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한 후 1981년 런던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

[창의성 계발 프로그램 설명회] 비지트의 빅픽처바인딩훈련 프로그램 (BBT) 설명회, 8월 25일 토요일 오전 11시 광화문 오피스 세미나실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자신의 진로 진단, 커리어 로드맵 및 전략 컨설팅을 해 오면서 현재 시대와 맞물려 커리어 설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고민하고 있음을 비지트가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많은 분들이 시대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해하는데 자신의 창의..

[BBT: 빅픽처 바인딩 훈련 수업] 훈련 8회에 자신의 진로 탐색과 설정에 가시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_ 창의성의 근원은 영감

BBT: Big picture Binding Training: 빅픽처 바인딩 훈련 비지트의 다양한 경험과 미래 예측 능력, 그리고 빅픽처 능력으로 계발 한 BBT는 스스로 큰 그림을 그리게 하여 자신의 잠재력과 창의성을 찾게 하는 훈련 수업입니다. 비지트는 여기에 정보 통합적인 융합을 더해 새로운 정보를 엮어 새로운..

[빅픽처 바인딩 훈련 프로그램_ BBT] 창의성 계발을 위한 빅픽처 바인딩 훈련_Big picture Binding Training Programme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비지트는 비지트만의 빅픽처 바인딩 훈련 프로그램 (BBT)을 개발하여 창의성 계발과 사고 확장에 큰 역할을 하여 급변하면서도 모호한 시대에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원하는 인재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그 기본기를 다질 수 있게 합니다. ..

[BBT: 빅픽처 바인딩 훈련] 그림에 담긴 비하인드 스토리 _ 기술보다는 숨겨진 의미와 왜라는 질문이 필요, 미델하르니스의 가로수길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빅픽처 바인딩 훈련, BBT는 정보통합학적 접근으로 더욱더 사실 뒤에 숨겨진 이면을 파악할 수 있고, 사고 확장이 가속화되면서 다른 정보와 연결이 되었을 경우는 더욱 큰 정보가 만들어지면서 새로운 창작물이 나오게 됩니다. 오늘의 빅픽처 바인딩 훈련은 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