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창의성 2

<AI시대 창의성 계발법, 스캠퍼 기법 7단계> 정보융합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과정, 청소년 AI 인문 진로 전략서 'AI 질문이 직업이 되는 세상'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설 수 있다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나오면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지 학생도 직장인도 심지어 실버세대까지 화두에 오르고 있는 이슈입니다. 더구나 얼마 전 보스턴 다이나믹스가 공개한 현대자동차 현장에 투입될 뉴 아틀라스 로봇은 그야말로 인류의 미래 진진에 멈칫할 수밖에 없더군요.  이러다 보니 남녀노소 각계각층을 막론하고 인공지능이 장착된 로봇 그리고 인간의 대결일지 공존이 될지 아니면 인류의 역행이 될지 그 어느 때보다 불확실한 미래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확실하고 모호한 미래이지만, 하나 확실하고 명확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절대적으로 인간이 가진 인문학적 소양, 철학적 지성, 그리고 의문을 멈추지 않는 호기심이 창작된 창의성이라..

[TED 특강 소개: 학교가 창의성을 망가뜨리는가?] 학교에서 배우는 것으로 5년 안에 나타날 미래의 변화에 대한 대처가 불가능하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아야 창의성이 나타난다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 직장인 등 성인분들의 상담을 하다보면, 본인 상담을 시작하다가 가면 갈수록 자년분들에 대한 질문도 같이 하는 경유가 많아요 ^^ 공교육데 해나 고민과 창의성 방식에 대한 많은 고민을 하시다보니 그런거 같습니다. 그래서 비지트가 오늘 2006년 TED 강연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 학생의 창의성을 키워주는 교육제도의 필요성을 주장한 TED 강연 '학교가 창의성을 죽인다(Do schools kill creativity)'를 오늘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위키백과에는 켄 로빈슨 경(Sir Ken Robinson, 1950년 3월 4일 ~ 2020년 8월 21일)은 영국의 교육학자로 리버풀 출신으로 리즈 대학교 사범대학을 졸업한 후 1981년 런던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