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전략 2

<서울시 교육청 '국토인생' 교육전략> 국제 수업, 토론, 인공지능/디지털, 생태계 선도학교 확대, 기후 위기 7시간 이상 교육 - AI 시대 청소년 미래 역량 강화 교육전략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서울시 교육청에서 추진하는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해 미래 교육 전략이 상당히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축약하여 '국·토·인·생' 교육인데요, '국토인생'은 국제공동수업, 토론 교육, 인공지능(AI)·디지털 교육, 생태 전환교육의 각 앞 글자를 따서 만든 말인데요, 복잡하고 모호하여 예측이 어려운 VUCA 시대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기르겠다는 목표로 시 교육청이 추진하는 정책입니다. 즉, 지구촌과 세계화, 갈등과 대립,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후 위기와 생태 전환 등 복잡하고 예측이 어려운 시대에 학생들이 주어진 도전 과제를 해결하고 미래 사회를 주도할 수 있는 미래 역량을 기르기 위한 취지에서 추진하는 정책이라고 합니다. 지난해 초·중·고 등 193곳에서 18개 곳 학생들과 이뤄졌던..

<챗GPT 이후의 학교 선정에 대해> 변화에 능동적이지 못한 학교에 시간 낭비를 해서는 안됩니다. 챗GPT 이후 진정한 능력은 실전 정보를 융합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 비지트는 주말 동안 많은 상담을 진행했습니다. 상담의 주제는 챗GPT 이후의 우리 아이의 진로진학에 대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였습니다. 강연에서 항상 언급했던 내용이었지만, 기존의 교육시스템으로는 더 이상 격변하는 미래로 나아가기는 거의 불가능한 시대가 되어 버렸습니다. 비지트 역시, 항상 미래 전략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현실에 안주하는 순간 미래 보장이 어렵다는 것은 기정사실이니까요. 필드에서 뛰고 있는 미래전략가가 이 정도인데, 학생, 직장인, 심지어 전문직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더한 이런 현실을 맞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주말 동안 여러분의 학부모/학생들과 상담을 진행하면서, 수시와 정시 이러한 이분법적 입시제도하에서 한국 대학의 커리큘럼을 살펴볼 기회를 가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