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중국발 미세먼지 덕택에 오늘 하루 온종일 실내 활동 위주로 살아야 할듯싶습니다. 아침에, 운동을 갔다가 오는 길에 등교하는 학생들을 보면서, 자유로움보다는 시간에 얽매이거나, 교육 시스템에 얽매여 살아가는 모습이 안쓰러워 질 때가 많습니다. 그렇게 학교 시스템에 얽매이다가 대학 졸업 후 취업에 실패하여 방황하는 젊은 세대들의 모습이 요즘 한국 사회의 20대의 모습이 아닌가 싶습니다
어제 미국에서 UC 어바인 대학 합격 소식이 날아왔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끝이 아니라, 남아있는 대학의 합격 여부가 확정되면 4월부터 한 달 동안 학생과 대학을 선정해야 하는 시간이 다가옵니다. 학생 본인에게 정말 중요한 시기인데요, 일단 비지트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대학을 선정하라고 학생들에게 충고합니다.
- 대학의 네임밸류보다는 학과의 패컬티 퀄러티 및 학과의 미래
- 대학 커리큘럼의 퀄러티 파악
- 대학 졸업 후 취업률 (외국 학생 기준으로 파악)
그 외 비지트만의 여러 가지 기준 선정 기준이 있습니다. 이건 컨설팅을 받게 되면 알게 됩니다. ^^ 암튼, 학과의 선정은 매우 중요한데요, 그것은 여러분들의 미래의 입지와 직결되기 때문이죠. 며칠 전 위스콘신 대학의 인문학 분야 12개 학과 폐지 소식이 들렸는데요, 내용을 한번 보시죠.
그레그 서머스 학사담당 부총장은 "고교 졸업생 수가 점차 줄고 학생 유치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보다 인기 있는 전공에 자원을 투입하는 개편이 절실히 필요하다" 출처: 미주 중앙일보 인용
여기서 "고교 졸업생 수가 점차 줄어들고 학생 유치 경쟁이 심화"라는 단어가 매우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미국이 출산율이 크게 줄어드는 국가도 아닌데 왜 고교 졸업생 수가 줄어들까요? 즉 대학으로 진학하려는 고등학생이 줄어든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미 미국에서는 고등학교 졸업 후 사회에 진출했다가 대학 혹은 대학원 과정을 온라인으로 이수하는 continuing program이 대세가 되어가는 이야기로 볼 수 있습니다. 즉 대학 자체가 더 이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트렌드, 초연결 시대에 대한 커리큘럼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기에 깨어있는 고등학생들이 바로 사회에 진출하는 역풍을 맞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대학마다 이제는 SAT/AP/GPA 같은 학점만을 보기보다는 학생의 미래 생존 가능성을 더욱 높게 평가하고 그러한 부분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들을 개발 중입니다. 그중 몇 가지를 소개해 드립니다
- VISUAL 포트폴리오 확대
- 차별성 있는 액티버티 선호
- 창의성을 판별하는 독자적인 에세이 질문 확대
비지트는 어제 상담했던 학생들 중 한 명의 대화 속에서 "자유"라는 단어를 80% 이상 사용하고 있음을 알아차렸습니다. 학생은 매우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사고를 지니고 있었지만, 한국 학교 및 학원, 사회에서 이 학생의 이러한 자유를 속박하는 시스템으로 학생의 창의성을 억압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교육 당국과 학교가 학생의 창의성을 억압하고, 사회가 그러한 창의성을 오히려 "네가 뭘 알아"라는 식으로 꼰대식 사고방식을 고집할수록 4차 산업혁명 이후 한국의 미래는 암울합니다. 이미 미국 대학에서는 기존의 점수 위주와 IQ 위주의 학생 선발에서 창의성과 EQ를 극대화 한 인재 선발로 바뀌고 있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결론적으로, 한국 사회와 학교에서 일명 문제아 혹은 부적응 자라고 판단하는 학생들이 실제적으로 만나 상담을 해 보면 오히려 창의성의 보고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시스템 변화가 정말 필요한 시점입니다. 미국 대학들과 사회는 이러한 인재들에게 더 많은 기회와 잠재력 개발에 나서고 있고 이러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 인재로 키우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냐고요? 비지트가 도와 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