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취업 교사 대상 특강> AI가 바꾸는 미래직업과 진로, 사고의 틀을 깨라. 더 많은 직업과 일, 부를 가질 수 있다. 진로는 방향이다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지난주 최서연 박사는 대전 호텔인터시티에서 열린 '2024학년도 직업계고 현장실습 컨설턴트 성과 공유회 워크숍' 에서 전국에서 오신 교육부, 중앙취업지원센터 담당자 및 직업계고 현장실습 중앙 시도 컨설턴트 등 취업 교사를 대상으로 한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2024년 성과를 2025년 2월에 개최하면서 좀 늦어졌지만, 한 해의 성과를 공유하고 또 올 한 해를 준비하는 자리이기도 할 것입니다.
이틀 동안 진행된 워크숍에서 두 번째 날 마지막 일정으로 잡힌 특강 시간엔 약 100여 분이 함께 했는데요, 이번 특강은 AI 시대를 대비한 청소년 진로 도서인 'AI, 질문이 직업이 되는 세상'을 직접 읽어보신 담당자분이 직업계 고등학교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취업 진로를 지도하시는 취업 교사 컨설턴트님들께 꼭 필요한 내용이라 여겨 초빙된 자리로 이번 강연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024학년도 직업계고 현장실습 컨설턴트 성과 공유회 워크숍' 최서연 박사 강연
최서연 작가는 AI 가 우리 아이들이 살아가는 미래의 삶을 어떻게 바꿀지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사고와 틀을 깨는 순간 오히려 더 많은 직업과 일을 그리고 더 큰 부를 가지고 갈 수 있는 미래의 기회가 있음를 이야기했습니다. AI를 비롯 첨단 기술은 직업의 생태계를 바꾸어 진로 탐색과 설계 방법이 달라져야 하며, 일자리가 아닌 일거리가 오히려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듦을 강조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AI 시대에 발맞춰 빠르게 변화해야 할 역량과 시대가 급변해도 변하지 말아야 할 역량에 대해서 언급하며, 취업 준비할 때 꼭 필요한 자신의 역량을 좀 더 강력하게 어필할 수 있는 이력서 작성법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었습니다.


강연이 끝난 후, 마지막까지 남아서 특강을 들은 보람이 있었다며 감사의 인사와 함께 시대의 변화로 인한 교육 환경, 교육자의 역할과 역량에 대한 질문과 디지털 기기와 함께 살아가야 할 시대에 아이들에게 디지털 기기를 가까이하는 것에 대한 의견 등 다양한 질문을 받았습니다.
특히, 기억에 남는 건 AI 와 로봇 등이 일자리를 대체한다는 트렌드를 알고 있지만, 공업계 친구들에게 어떻게 이런 시대의 변화를 희망적으로 이야기해 주어야 할지 질문을 하셨습니다. 최서연 박사는 그 어려움에 공감하며 변화를 거부할 수 없지만 교사가 아이들에게 다른 시각을 열어주고 역량을 가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할 몇 가지를 답변했습니다.
이런 직업에 대한 위기감은 사실 우리 모두에게 있습니다. 공업계 학생뿐만 아니라, 지식 기반의 일도 그 어떤 분야도 마찬가지죠. AI 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부분에서 AI 등 첨단 기술이 우리 삶을 바꾸고 어떤 직무와 역할을 대체할 것인지 그리고 대체하지 못할 것이 무엇인지 개념 정리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인간만이 가진 가치를 찾아내고 자신만의 특별함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신간인 AI 시대, 청소년 디지털 지능 계발서인 '디지털 세상을 살아갈 너에게'에서 최서연 박사는 AI, 디지털, 데이터, 미디어 등이 개인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설명하며 디지털 시대를 이해하고 자신을 세울 수 있도록 했는데요, 특히 AI 와 데이터의 관계를 이야기하며 AI 에겐 인간이 필요하고 인간에겐 AI 필요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언급했습니다. 이처럼, AI 시대에도 인간의 가치는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AI 시대가 본격화되는 2025년에는 더욱 청소년들이 자신의 진로를 찾는 데 있어 어려움이 많을 것입니다. 지식과 이론만이 아닌 여러 체험과 경험 등을 동반한 실천과 그것을 여러 분야에 적용해 보면 자신이 몰랐던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거기다 직업과 진로에 대한 사고의 틀을 깨고 방향을 바꾸어 보면 새로운 길이 보일 것입니다. 2025년에도 아이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재단하지 말고 미래의 변화에 당당히 맞서 자신의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독려를 해 주시길 바랍니다.
【비지트는 IT 융합 공학박사이자 미래전략가로 개인과 기업의 미래 가치 향상에 힘쓰고 있습니다. '챗GPT 질문이 돈이 되는 세상'의 저자로 챗GPT/ AI 강연, 드론/ 자율주행차 강연, 미래전략 강연, 진로진학 커리어 컨설팅, 기업의 미래 전략 컨설팅 등 미래가치를 높이는 데 힘쓰고 있는 종합 컨설팅 Firm입니다】
